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windosws wbcs
- HTML
- System
- 암호수학
- SWiFT
- 큐
- pwnable.kr
- ftz level13
- 백준
- 파이썬
- OSI
- 자료구조
- LoB
- PHP
- 재귀
- web
- windosw 문자열
- level13
- 시간복잡도
- 미로 탐색 알고리즘
- 스택
- Stack
- c언어
- 정렬 알고리즘
- 파일 시스템
- C
- 두근두근 자료구조
- Java
- ftz
- War Game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Theory/Network (24)
나의 기록, 현진록
Ping ping 은 TCP/IP 프로토콜 중 ICMP 를 통해 동작하며,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이다.ICMP 프로토콜 동작 원리는 호스트에 요청(ICMP echo request)을 보내고 요청을 받은 호스트가 응답(ICMP echo reply)한다. 이를 통해 그 호스트가 작동하는지와 네트워크 상태가 어떠한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ICMP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은 기기나 보안 정책 중 ICMP를 차단하는 경우 ping 명령어는 사용할 수 없다. fping ping에서 한단계 진보한 명령이다.가장 큰 차이점은 ping은 단일 대상, fping은 대상을 범위로 설정하기 때문에 대역적이다. 다음은 fping의 옵션이다. OPTIONS -a Show systems that are alive. -A Display..
OAuth의 활용 요즈음 다양한 웹 사이트에서는 현재의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구할 때, 외부 서버에서 이미 인증되어 있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웹 서버에 인증을 하는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이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OAuth프로토콜이며,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마다 인증을 해야 하는 불편한 작업을 줄여 보다 편리한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OAuth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 웹 서비스에게 리소스 서버의 계정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리소스 서버의 사용자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인가할 수 있게 하는 표준이며,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인증하기 위한 외부 서비스 API에 안전하게 접근하기 위한 OAuth 프로토콜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
인트라넷(Intranet) 기관 내부 목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인터넷(Internet)과 같이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웹 브라우저를 이용한다.인터넷의 확장성과 개방형 구조의 장점을 기업 업무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업 내부 네트워크기업 내부 직원 이외에 다른 사용자들은 사용할 수 없다. 엑스트라넷(Extranet) 인트라넷의 확장 기업 내부 직원 이외에 협력 회사나 고객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1-1 응용 계층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이며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실제로 통신의 최종 목적에 해당하는 계층응용 계층에서는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되지 않는다. 1-2 주요 역할 응용 서비스를 네트워크에 접속 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일 전송, 데이터베이스, 원격 접속, 이메일 전송 등...... 1-3 프로토콜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프로토콜을 정의한다.HTTPFTPTelnetDNSSMTP 등
1-1 표현 계층(6계층)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한다. 데이터의 구조를 하나의 통일된 형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응용 계층의 데이터 형식 차이로 인한 부담을 덜어준다. 1-2 주요 역할 응용 계층의 다양한 표현양식을 공통의 형식으로 변환 암호화압축코드 변환 서로 다른 형태의 코드 변환(ASCII, EBCDIC, Binary 등), 파일 변환, 문장 축소화 기능 등을 수행한다. 1-3 데이터 단위 메시지
1-1 세션종단 간 일회용 논리적 연결 1-2 세션 관련 프로토콜SIP SDP 2-1 세션 계층(5계층)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계층으로 포트 연결이라고도 할 수 있다.종단 호스트 프로세스 간에 생성, 유지, 종료하는 데 필요한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와 전송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LAN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이를 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경우 양쪽 호스트 간에 최초 연결을 하며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유지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3-1 주요 역할접속 설정 및 해제 세션을 설정 및 해제하는 기능이다. 다중화 여러 세션들이 효율을 높이기 위해 1개의 같은 전송 계층에 접속할 수 있다. 에러복구 토큰을 사용하여 대화를 관리 누가 언제 통신하였는지를 결정하며 토..
1-1 전송 계층(4계층)두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의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신경 쓰지 않도록 한다.네트워크 계층에서 전송한 데이터와 실제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이 연결되는 통신 경로이다. 네트워크 계층으로부터 얻은 서비스 형태(연결지향성 및 비연결성)에 따라 전송 계층 프로토콜의 크기와 복잡성이 결정포트가 사용 되는 계층 1-2 주요 역할에러 복구 에러 복구는 재전송으로 이루어진다. 흐름 제어 1-3 프로토콜 TCP : 양방향 데이터 전송 방식, 데이터 손실 발생 시 재전송한다. 속도 느림 신뢰도 높음UDP : 단방향 데이터 전송 방식, 데이터 손실을 신경쓰지 않는다. 속도 빠름 신뢰도 낮음 1-4 데이터 단위세그먼트 1-5 장비게이트웨이
1-1 OSI 모델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다양한 네트워크의 호환을 위해 제정한 표준 네트워크 통신 모델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IBM과 DEC 같은 회사들이 네트워크 구조를 발표했는데, 그 당시에 발표된 네트워크는 타사의 네트워크 구조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되어 상호 연동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국제표준화기구(ISO)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호환을 위해 OSI 7 계층이라는 표준 네트워크 모델을 만들었다. 이 OSI 7계층은 지금까지도 네트워크 표준 모델로 쓰이고 있는 중요한 표준 모델이다. 2-1 목적 데이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각 계층별 기능과 역할을 통해 데이터 전달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문제해결이 쉽다. 네트워크 통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1계층부터..
1-1 네트워크 계층(3계층)논리적 주소를 담당하고 패킷의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데이터를 전송할 수신 측의 주소를 찾고 수신된 수신된 데이터의 주소를 식별하여 전송 계층으로 전송한다.데이터(프레임)를 패킷 단위로 분할(세그멘테이션)하여 전송한 후 재결합 시킨다.패킷에는 논리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1-2 네트워크 계층의 주요 역할 논리적 주소체계 부여 라우팅과 관련된 주소를 지정한다. 경로 제어 (라우팅) 논리적 주소를 기반으로 전송 경로를 결정한다. 1-3 네트워크 계층 장비라우터 L3 스위치 1-4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IP IPXARP 등 1-5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단위 패킷
1-1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 물리적 링크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송한다.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로 역할을 한다.헤더에는 다음 노드의 주소가 더해진다.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CRC 기반의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트레일러에는 오류를 검출하는 특별한 비트가 있다.1-2 주요 역할 프레임화 비트를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흐름제어 보내는 측과 받는 측 간의 속도차를 보상한다. 에러제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패킷들을 재전송(송신 측에서 타이머와 ACK 신호에 의해 전송 에러를 알 수 있음) 물리적 주소(MAC) 지정 1-3 프로토콜이더넷 ICMPWLAN 1-4 장비브리지 스위치 1-5 데이터 단위 프레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