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oB
- 백준
- pwnable.kr
- Stack
- windosws wbcs
- Java
- 자료구조
- windosw 문자열
- 정렬 알고리즘
- 재귀
- ftz level13
- 미로 탐색 알고리즘
- web
- HTML
- 파일 시스템
- 시간복잡도
- SWiFT
- OSI
- level13
- 암호수학
- System
- C
- War Game
- c언어
- PHP
- ftz
- 파이썬
- 스택
- 큐
- 두근두근 자료구조
- Today
- Total
목록2025/03/11 (3)
나의 기록, 현진록

Objective반복된 동작을 위해 주로 for in 또는 forEach를 주로 사용해 왔다.가끔 알고리즘 문제를 풀곤 할 때 forEach 문을 사용했을 때 시간 초과가 발생했던 적이 있어서 둘 중 for in이 더 빠르다고 느껴왔다.경험으로 인해 그렇다고 느껴왔던 것이지 의문만 가지고 실제 두 차이를 알아보려고 시도하진 않았던 것 같다. for-in과 forEach 중 어떤 것이 속도와 메모리 측면에서 성능 분석 후 어떠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게 적합한지 알아보자 Key ResultKR1 - 어느 것이 속도가 더 빠른지 비교한다.KR2 - 어느 것이 메모리 사용량이 적은지 비교한다.KR3 - 각각 어떠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분석한다. KR1 - 속도 비교import Foundation..

Main Event Loop메인 스레드의 Run Loop이다. Main Run Loop로 불리기도 한다.앱이 시작될 때 생성된 UIApplication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실행된다. run() 메소드 동작 과정 중에 main loop를 실행한다.Input Source와 Timer Soruce 두 종류의 이벤트를 처리한다.Input Sorce를 통해 사용자의 저수준 이벤트를 수신 받는다. Main Event Loop의 동작 과정 1. Input Source로부터 입력 받은 저수준의 이벤트를 도착한 순서대로(FIFO) 이벤트 큐(Event Queue)에 넣는다. 2. Application object는 이벤트 큐에 있는 최상위 이벤트 객체를 가져와 해석하고 그에 상응되는 UIEvent(iOS)로 변..
WKWebView앱과 상호 작용이 가능한 웹 컨텐츠를 보여줄 수 있도록하는 객체HTML, CSS, JavaScript와 같은 컨텐츠를 앱의 네이티브 뷰와 함께 보여줄 수 있도록 제공한다.웹 기술이 네이티브 뷰보다 앱의 레이아웃 및 스타일 요구사항을 더 쉽게 충족할 수 있을 때 사용한다.앱의 콘텐츠가 자주 바뀔 때 사용할 수 있다.단순 일회성 또는 주기적으로 바뀌는 뷰, 이벤트 팝업 등이 예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URL을 정적으로 작성 되어 있는 것이 아닌 API 호출로 URL을 입력할 수 있다면 웹 뷰가 변경 될 때마다 앱을 배포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웹뷰 안 써봐서 모름...) WKWebView 이전에는 iOS 2.0부터 사용 가능한 UIWebView를 사용하였지만 iOS 8.0부터는 WK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