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기록, 현진록

[OS] 운영 체제의 작업 처리 방식 본문

-Computer Theory

[OS] 운영 체제의 작업 처리 방식

guswlsdk 2017. 9. 24. 02:38
반응형
1. 일괄 처리 시스템(1950년대)
  • 초기 운영체제의 형태로 여러 개의 작업을 일정 기간 또는 일정량이 될 때까지 모아서 단일 작업으로 묶어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 작업 실행 시 끝날 때까지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
  • 현재 까지 사용되는 예 : OMR 성적 처리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1960년대)

  • CPU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일괄 처리 방식을 개선하여 보다 발전된 작업 처리 방식
  • 한 개의 CPU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
  • 메모리에 여러 프로세스를 수용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복잡해지며, 실행 대기 중인 프로세스 간에 처리 순서를 스케줄링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 예) 노래를 재생하면서 인터넷 뉴스 보기


3. 실시간 시스템(1960년대)

  •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작업 수행이 요청되었을 때 이를 제한된 시간 안에 처리해 결과를 보내주는 시스템이다.
  • 작업의 요청부터 수행 결과를 얻기까지의 시간 제약이 존재한다.
  • 시간 제약의 엄격함에 따라 경성 실시간 시스템과 연성 실시간 시스템으로 나뉜다.

4. 시분할 처리 시스템(1960년대에 개발했으나 1970년대 초 보편화)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의 모습과 비슷해진 것은 시분할 처리 시스템의 탄생부터이다.
  • 컴퓨터를 대화식으로 사용하려는 시도에서 탄생하였다.
  • 프로세스의 사용 시간을 적당히 작게 나누어 번갈아가면서 CPU에 순차적으로 할당되어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 시분할 시스템으로 인해 사용자는 컴퓨터에서 모든 작업이 동시에 처리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5. 분산 처리 시스템(1980년대)

  • 하나의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분산되어 있는 다른 여러 컴퓨터에 분담 시킨 후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하는 방식
  • 자원 공유, 연산 속도와 신뢰성 향상, 통신 기능의 설계 목적을 가지고 있다.

6. 다중 처리 시스템
  • 컴퓨터에 2개 이상의 CPU를 이용하여 병렬로 처리하는 방식
  •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다.
  • 프로세서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프로세서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다. 


반응형